티스토리 뷰

목차



     

    23년이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은 것 같은데 벌써 며칠 후면 새해를 맞이할 시기가 왔습니다.
     
    새해에 소망했던 바는 모두 이루셨는지요.

    연말이면 한 해 동안의 일들을 하나하나 정리하고 새로운 시작을 준비해야 하는데요.

    그중 하나로 연말정산을 빼놓을 수 없겠죠?

    23년에 개정된 세법 중 장기주택차입금 이자상환액 소득공제 한도 확대에 대해 알아보고 내년 연말정산을 13월의 월급으로 만들어볼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1.00%에 불과하던 22년 5월부터 미국연준의 몇 번의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현재 5.5%까지 이르렀습니다. 이에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도 영향을 받고 그에 따라 급격하게 오른 주택담보대출 이율 때문에 많은 분들이 큰 부담을 갖고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에 정부는 주택 가격과 금리 상승에 따른 서민 주거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취지로 장기 주택 저당 차입금의 이자 상환에 대한 소득공제가 대폭 확대했는데요.
     
    소득공제 한도가 확대되어 소득구간이 높아서 세율이 높으신 분들은 세액 절감 효과를 크게 느끼실 수 있겠습니다.

     

    1. 먼저 밑에 표로 소득구간 세율을 살펴 보겠습니다.

    종합소득
    과세표준 구간
    세율
    1,400만원 이하과세표준의 6 %
    1,400만원 초과
    5,000만원 이하
    84만원 + (1,400만원을 초과하는 금액의 15 %)
    5,000만원 초과
    8,800만원 이하
    624만원 + (5,000만원을 초과하는 금액의 24%)
    8,800만원 초과
    1억 5,000만원 이하
    1,536만원 + (8,800만원을 초과하는 금액의 35%)
    1억 5,000만원 초과
    3억원 이하
    3,706만원 + (1억5천만원을 초과하는 금액의 38%)
    3억원 초과
    5억원 이하
    9,406만원 + (3억을 초과하는 금액의 38%)
    5억원 초과
    10억원 이하
    1억 7,406만원 + (5억원을 초과하는 금액의 42%)
    10억원 초과 3억 8,406만원 + (10억원을 초과하는 금액의 45%)

     

    연 소득이 5천만원 구간과 8천8백만원 구간인 분들은 새해 들어서 절세 계획을 잘 짜시면 구간을 낮춰서 산출세액을 줄일 수 있겠습니다!

     

     

    2. 개정된 사항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구분 개정
    상환
    기간
    15년 이상 10년 이상
    상환
    방식
    고정
    +비거치
    고정
    or비거치
    기타 고정
    or비거치
    공제
    한도

    (만원)
    2,000 1,800 800 600
    주택
    가격
    6억원

     
     

    대상 주택의 취득당시 기준 시가 5억원 → 6억원 이하로 상향되어 소득공제 가능 국민이 늘었고
     
    공제한도는 300만원~1,800만원 → 600만원~2,000만원으로 상향되어 공제액이 상향되었습니다.
     
    공제한도는 "상환기간, 고정금리인가 변동금리인가, 비거식인가 거치식인가"에 따라 한도가 결정됩니다.
     
    상환기간은 길게, 금리는 고정금리, 상환방식은 원금을 같이 상환해 나가는 분할상환을 하면 공제 시 유리하겠네요. 

     


     

     

    3. 마지막으로 주택담보대출 소득공제 5가지 요건을 알아보겠습니다.

     

     


    지금까지 주택담보대출 소득공제 개정 사항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요건과 새롭게 적용될 사항을 잘 파악하셔서 

    세테크하는 2024년 되시길 바랍니다!!!

    행복한 하루 되시고 다음 포스팅에서 또 뵐게요:)
                                                                                                                                                                                                                                  

     
     

    반응형